본문 바로가기
독서리뷰

실패가 두려울 때 읽는 책 <부의 본능> 내가 부자가 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by dan-dan 2022. 9. 29.

누구나 성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실패해야 한다.

항상 실패가 무서웠고 지금도 크게 다르지는 않다. 실패가 예상되는 경우 도전하는 것조차도 두렵다. 회사에서 업무를 할 때도 항상 두려워한다. 내가 내린 결정이 좋지 못한 결과를 가져올까 두렵다. 결정을 내려하는 순간에 실패에 대한 두려움은 나를 움츠러들게 한다. 고민하는 사이 시간은 흐르고 해야 하는 일들을 많이 끝내지 못한 채 퇴근을 하게 되는 날이면 마음이 무겁기도 하다. 지금까지는 실패하는 게 두려우면 피할 수 있었다. 쉬운 길을 선택할 수 있었고 안도할 수 있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실패가 두렵다고 마냥 피할 수 없는 상황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두렵든 두렵지 않든 책임을 가지고 업무를 진행해나가야 했고 담당자가 되면 처음부터 끝까지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었다. 지금까지 겉만 멀쩡했지 속은 텅텅 빈 사람이었다는 걸 깨달았다. 자발적으로 도전했어야 했고 실패를 경험했어야 했다. 많은 경험들은 나를 더 단단하게 만들어주었을 것이다. 무엇이든 지금 이 순간이 가장 빠를 때라고 생각하기에 늦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지금부터라도 두려움 속에 나를 던지는 연습을 하기로 했다. 누구나 실패는 한다는 생각을 마음에 새기고 모르면 질문하고 공부하고 부딪치는 중이다. 두려움을 극복하는 방법이 참 궁금했다. 문득 두려움을 극복하는 방법이라는 건 존재하지 않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했다. 어쩌면 두려움은 극복하는 게 아니라 견디는 것이지 않을까 싶다. 매번 새로운 도전은 설렘과 두려움을 준다. 그리고 의외의 수확을 안겨주기도 한다. 그렇기에 두렵더라도 그냥 두려움을 온몸으로 맞으면서 꿋꿋이 앞으로 나가는 게 정답이라는 걸 알았다. 

장기적인 관점으로 세상을 바라보기

절제는 자유를 가져다준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절제하지 못하고 쾌락을 좇아가버린다. '마시멜로 이야기'라는 게 있다. 어린아이들에게 했던 실험인데 아이들 모두에게 마시멜로를 하나씩 주고 나서 먹지 않고 30분을 기다리면 마시멜로를 더 준다고 이야기한다. 그리고 30분 동안 아이들을 관찰하는데 어떤 아이들은 참지 못하고 마시멜로를 먹어버리기도 한다. 몇몇 아이들은 마시멜로를 눈앞에 두고 고통스러워하며 억지로 참아내기도 하고 끝까지 참지 못하고 먹어버리기도 한다. 결국 30분을 다 참아내고 마시멜로를 추가로 받은 아이들도 있다. 세월이 흐르고 이 아이들을 다시 찾아 확인해본 결과 마시멜로를 먹지 않고 참았던 절제력 높은 아이들은 대부분 성공해있었다는 실험이다. 내가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현재를 투자할 줄 아는 절제력은 성공에 있어서 정말 중요한 부분이다. 우리는 세상을 장기적인 관점에서 바라보아야 한다. 당장 지금의 이익을 좇는 게 아니라 현재의 선택이 미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지 생각해보는 것은 중요하다. 물론 현재의 행복도 중요하지만 그 현재의 행복에 의해 앞으로 미래에 큰 불행이 닥친다면 썩 좋은 결말은 아닐지도 모른다. 그 둘의 균형을 잘 맞추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관점으로 고민하고 계획해 나가야 한다. 하지만 당장 일어나는 일들이 나에게 훨씬 큰 감정적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우리는 미래보다는 당장의 이익에 혹하곤 한다. 충동적인 결정들을 멈추고 멀리 내다보는 것은 연습이 필요하다. 처음에는 의식적인 노력이 필요하고 노력을 한다고 해서 쉽사리 되지는 않을 것이다. 하지만 100번 중 한번 성공하고 나면 그다음에는 2번, 그다음에는 5번씩 점점 늘려나가며 습관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당장의 만족도 중요하지만 지금의 만족이 나중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한 번 더 고민해보고 결정하는 습관은 성공을 위해 정말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겸손한 마음을 유지하는 것

다른 사람보다 우월해지고 싶고 자랑하고 싶은 욕망은 누구에게나 있다. 하지만 본인이 가진 능력을 과대평가하지 말아야 한다. 남들이 나를 멋지게 보았으면 좋겠다고 생각하여 허세를 부리면 안된다. 그 순간 우리는 도태의 길을 걷게 될지도 모른다. 아주 옛날에는 번식 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다른 사람보다 우월함을 자랑해야했다. 하지만 세상은 변화했다. 우리는 겸손한 태도를 가질 필요가 있다. 물론 우월감을 상품화하며 마케팅에 활용하는 사례도 많지만 스스로가 그런 사람이 아니라면 잘 생각해봐야한다. 진정으로 나를 위한 선택이 무엇인지 고민해야한다. 그러고 모든 것을 쉽게 얻으려고 하지 말아야한다. 쉽게 얻는 것일 수록 쉽게 잃는다. 또한 우리는 보고 싶은 것만 보려는 본능이 있다.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한 본능이라고 생각한다. 사실이 다르더라도 스스로를 지켜내기 위해 내가 생각한 것이 맞다고 주장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내가 생각하는 것들이 맞을만한 이유들만 찾기 시작한다. 반대로 내가 틀릴 수 있는 이유들에 대해서는 관대하게 넘어가곤 한다. 우리는 평정심을 유지해야 하고 객관적으로 판단하는 연습을 해야 한다. 항상 나도 틀릴 수 있다는 겸손한 태도를 가지고 세상을 바라보아야 한다. 모든 선택지에 대하여 나의 의견과 반대인 의견은 무엇이 있을지 진지하게 고민해봐야 한다. 내 생각이 확고할 수는 있다. 백번 천 번 아무리 생각해도 맞는 생각일 수는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무작정 옳다고 생각하고 밀고 나간다면 결정적인 순간에서 실패할 확률이 높다. 지조 있는 행동은 좋지만 매번 반대되는 주장을 진지하게 고민해보고 나서 나의 의견을 주장하는 것이지 무작정 내가 보고 싶은 것만 보아서는 성공하기는 어렵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