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리뷰

시련을 행운으로 바꿔주는 책 <회복탄력성> 역경을 극복하기 위해 '회복탄력성'을 길러라.

by dan-dan 2022. 9. 29.

회복탄력성

이 책에 나오는 '회복탄력성'이라는 단어는 곤란에 직면했을 때 이를 극복하고 환경에 적응하여 정신적으로 성장하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모든 건 마음먹기 달렸다는 말이 있다. 진정한 행복은 외부적인 조건이 아니라 나의 내면으로부터 온다. 아무리 나쁜 상황이더라도 내가 좋게 생각할 수만 있다면 웃을 수 있고 행복할 수 있다. 모든 것의 시작은 긍정적인 마음가짐에서부터 생긴다. 진정한 행복을 얻기 위해서는 타인의 인정이나 칭찬으로부터도 얽매이지 않아야 한다. 물론 칭찬은 중요하다. 그러나 모든 것은 과하면 문제가 생기는 법이다. 타인의 인정과 칭찬에 과도하게 영향을 받고 눈치를 본다면 나의 행복도 결국 타인에 의해 좌지우지될 것이다. 칭찬으로부터 좌지우지된다면 칭찬이 없는 상황에서는 반대로 불행해질 수 있다는 의미이다. 세상의 평판이나 다른 사람의 인정에 연연하지 않고 자기 자신과의 건강한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 하지만 타인의 인정이나 칭찬과 완전히 독립해서 온전한 나를 사랑한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솔직히 나는 마음이 와닿지는 않는다. 타인의 칭찬에도 적당히 연연하면서 스스로에게는 약간 더 연연해보는 사람이 되는 게 더 인간적이고 정이 간다. 성공에 대한 집착이나 집념이 회복탄력성을 떨어뜨린다고 하더라도 그런 집념이 있기 때문에 나는 도전이라는 것을 하게 되며 그런 과정에서 지속적인 성장을 하게 되는 게 아닐까 생각한다. 

긍정적으로 생각하기

성공한 사람들은 고난과 역경을 겪은 이야기들이 하나쯤 있다. 그들은 그들이 겪은 고난과 역경을 기회로 바꾸어버린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다시 일어날 수도 없는 좌절감 가득한 불행을 맛보았을 때 모든 걸 포기해버리기도 하지만 결국 살아남은 사람이 강하다는 말이 있듯이 성공한 사람들은 포기하지 않고 꿋꿋이 버텨낸 것이다. 정신을 차리고 암흑과도 같은 현실 상황에서 한 줄기 빛이라는 희망을 찾아 헤맨 것이다. 바로 그런 사람들을 우리는 회복탄력성이 높은 사람들이라고 이야기한다. 괴로워하기보다는 주어진 상황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면서 할 수 있는 일을 찾아 나서는 사람들이다. 회복탄력성은 이해하는 게 아니라 행동으로 익히는 것이다. 행동으로 습득하기 위해서는 많은 연습이 필요하다. 내 무의식 속에 깊게 들어와 행동 하나하나와 말 하나하나에 자연스럽게 스며드는 것이다. 급하게 생각하지 않고 꾸준히 바꿔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

자기 조절 능력

회복탄력성이 높은 사람들일수록 스스로에 대한 이해가 높다. 자신의 능력을 잘 이해하고 있으며 자신의 실수를 금방 알아차리고 이를 고쳐나가려는 자세를 취한다. 스스로의 실수나 결점을 무시하거나 회피하거나 덮어두려고 하지 않는다. 당당히 맞서서 해결하려고 한다. 그렇다고 해서 두렵지 않은 것은 아닐 것이다. 두렵고 무섭더라도 피하지 않아야 하는 것을 알기에 꿋꿋이 버텨서 맞서는 것이다. 나는 이 부분에서 취약하다고 느꼈다. 머릿속에서는 내 실수를 인정하고 고쳐나가는 자세를 취하라고 되뇌면서도 자꾸 회피하려고 하고 숨어버리려고 한다. 잘못을 당당히 인정하고 책임질 것은 책임지면서 더 성장해 나가는 사람이 되도록 노력해야겠다. 또한, 성공한 사람들은 대부분 자기 이해 지능이 우수했다. 그리고 여기에 추가로 개별적인 지능들이 더해졌다. 수학 지능, 신체지능, 언어지능 등 각각의 특성이 더해지면서 각 분야의 성공한 사람들이 되었다. 우리도 높은 회복탄력성을 갖기 위해서는 먼저 스스로를 더 잘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이것을 바탕으로 내가 잘하거나 좋아하는 분야에서의 능력을 추가로 길러야 한다. 

대인관계 능력

사랑의 힘이 곧 대인관계 능력을 길러주는 방법이다. 어릴적부터 부모님에게 무조건 적인 사랑을 받는 아이일수록 대인관계 능력이 우수하다. 가정환경이 아무리 좋지 않더라도 아이의 입장을 무조건적으로 이해해 주고받아주는 어른이 단 한 명이라도 있으면 그 아이는 강한 회복탄력성을 가지고 어떤 역경을 만나게 되더라도 다시 일어날 수 있게 된다. 우리가 베푸는 삶을 살아야 하는 이유와도 같다. 우리의 주변 사람들, 우리가 사랑하는 사람들을 응원해주고 지지해주면서 사랑을 베푼다면 자연스럽게 그 상대방도 나와 주변 사람들에게 사랑을 베풀게 되고 그런 믿음과 사랑은 내가 큰 실패를 겪더라도 다시 일어날 수 있는 용기와 희망을 가져다준다. 그렇게 더 긍정적인 사람이 되고 다시 세상에 좋은 영향을 끼치는 선순환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반응형

댓글